토론 기획을 위한 정리글
한국 근현대
토기남
2020. 4. 20. 03:27
14. 급변하는 한국 근현대
한국은 급격한 근대화를 겪은 나라다
민주화와 산업화라는 거대한 변화를 100년도 체 안되는 시간에 이루어냈다.
소수의 천재들이 외국의 성공 모델을 모방했고,
경제적, 정치적으로 그러한 전략은 성공했다.
한국이 조건하에서 상당히 발전한 나라라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전세계적으로 매우 희귀한 사례이며,
절대 우연이 아니다.
문제는 이 과정을 스스로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에 있다.
무엇이 훌륭했으며, 한계가 무엇인지
피할 수 있었던 문제인지
역사적 사안에 대해 일치된 의견이 많지 않다.
덕분에 의무 교육과정에서 근현대사를 가르치는 것은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현대 한국의 키워드 중 하나는 '공정성'이다.
그 어느 때보다, 사람들은 더 옳은 형태가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다.
사회적 가치도 한국의 여느 변화처럼 순식간에 변하게 될지 모르는 일이다.
결국에는, 우리의 제도, 역사, 전략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정치에 국한된 이야기이지만 유시민 작가는 '후불제 민주주의' 라는 책을 통해
한국의 헌법을 제대로 인식하기 위한 비용을 아직 치루지 못한 상태라는 문제제기를 했다.
세계사적으로 엄청난 폭력이 수반되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그 어느 때보다, 독서와 토론이 필요해지는 시기에 살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