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1)
28. 과학 (Science)의 방법
새로운 법칙을 만든다고 가정하자,
방법은 간단하다.
법칙을 알아내고, 추측되는 결과를 계산해서 이론적으로 참인지 알아본다.
그리고 그 계산 결과들을 현실과 비교해본다.
이를 실험이라고 한다.
실험과 맞지 않다면, 틀린 것이다.
과학의 핵심은 여기에 있다.
얼마나 아름다운 추측이었는지,
당신이 얼마나 훌륭한 사람인지,
유명한 사람이던 간에,
실험과 맞지 않으면 틀린 것이다.
그게 전부다.
탄탄한 추론으로 만들어진 이론을
검증을 통해 틀렸다는 것을 증명해가는 것,
과학의 방법 : 추론으로 만들어진 이론을 검증을 통해 틀렸다는 것을 증명해가는 것.
실험 : 이론적 결과와 현실을 비교하는 것
29. 틀렸다는 것만 확신할 수 있다.
우리는 결코 어떤 이론이 옳다고 증명할 수 없다.
멋진 추측을 하고, 결과를 계산해보니,
실험과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치자.
그럼 그 이론은 옳은 것일까?
아니다! 틀리지 않은 것으로 증명된 것일 뿐이다.
관찰 가능한 범위가 넓어진 미래에는 잘못된 점이 발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뉴턴의 중력 이론은 몇백 년간 일시적으로 옳았다.
틀렸다고 증명하는데 시간이 걸렸을 뿐, 절대적으로 옳을 수는 없는 것이다.
내일의 실험이, 당신의 생각을 뒤집을 수 있다.
우리는 결코 옳을 수 없고,
틀린 것만을 확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이런 과정을 계속해 나갔다.
과학의 권위는 이런 모순을 견디는 사람들로부터 온다.
틀린 것을 찾는데 혈안이 되어있는 사람들의 역사를 존중하는 것이다.
덕분에 개개인이 모든 분야에 대해 연구하지 않더라도,
그 정보를 신뢰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과학의 권위는 틀렸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에 대한 존중에서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