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포스트 모더니즘
- 독서
- 정책
- 토론 문화
- 발제 자료
- 위계
- 토론
- 토론 대첩
- 책
- 정부24
- 논증
- 정책 자료
- 독서 토론
- 논제
- 정부24의 주요메뉴
- 정책 정보
- 정책정보
- 정의
- 정부24 개요
- 정책 정보 포탈
- 토론 기획
- 토론 태도
- 타당한 논증
- 포스트모더니즘
- 수권 정당
- 논제 자료
- 조던 피터슨
- 발제
- 토론 정의
- 이념 정당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리뷰 (1)
토론 기획하는 남자, 토기남

1. 근거로써 좋은 지식은 무엇인가? '토론은 본질적으로 전투를 내포하고 있다.' 찬반 형식에 대한 나의 집착이 어느정도 인정받은 것을 보아 독서토론모임 내에서 공감대를 얻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이기는 것인가? 더 좋은 근거를 말하는 사람이 이긴다. 좋은 근거란, 정확한 본질을 짚어주는 정보이기 때문이다. 2. 인식론 인식론이란 지식이 만들어지는 방법에 대한 해석이다 합리론과 경험론의 대립으로 설명되는데, 데카르트,스피노자, 라이프니츠는 이성이 지식의 원천이라고 주장한 반면 로크, 버클리, 흄은 경험에서 온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지식을 정의하는 것은 예로부터 철학의 주요한 질문 중 하나이다. 3. 칸트의 인식론 칸트의 입장은 어떨까? 결론부터 밝히자면, 이 두가지 관점을 종합하는 설명이라고 할 ..
책 리뷰
2020. 3. 30. 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