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발제
- 토론 대첩
- 정책
- 정의
- 토론
- 독서 토론
- 토론 정의
- 책
- 정부24
- 정부24 개요
- 논증
- 조던 피터슨
- 포스트 모더니즘
- 포스트모더니즘
- 타당한 논증
- 정책 정보 포탈
- 위계
- 토론 태도
- 논제 자료
- 논제
- 정책정보
- 정책 정보
- 정책 자료
- 독서
- 정부24의 주요메뉴
- 토론 기획
- 수권 정당
- 이념 정당
- 발제 자료
- 토론 문화
- Today
- Total
목록정책 (2)
토론 기획하는 남자, 토기남

1. 논제 발굴을 위한 자료조사 창구 정부24를 이용하면 공신력있는 정보를 편하게 얻을 수 있다. 시대의 요구를 읽는 논제를 발굴하고 싶다면, 꼭 친해져야 하는 정부 서비스다. 2. 정책 정보 포털 정책 정부 포탈을 통해 정책토론을 위한 다양한 자료들을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정부 기관의 정보를 하나의 포탈에 연결되어 있다. 총 9가지 정보 포털의 이름과 출처는 다음과 같다. 국가정책연구 - 국무총리실 정책브리핑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연구관리 -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 행정안전부 기록 - 행정안전부 법령 - 법제처 통계 - 통계청 기상 - 기상청 재난안전 - 행정안전부 https://www.gov.kr/portal/policyInfo 정책·정보 포털 | 정책·정보 | 정부24 www.gov.kr

2. 논제별 분류 토론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실무적으로 가장 중요한 기준은 논제의 성격이다. 이는 구성원들의 성격에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관에 입각해 다음의 분류를 제안하고자 한다. (1) 사실의 논제 : 어떤 현상이나 대상의 참/거짓 을 논하는 것 (2) 가치의 논제 : 사실을 기반으로 선/악을 논하는 것 (3) 정책의 논제 : 사실과 가치판단을 기반으로 정책의 긍정/부정을 논하는 것 (1) 사실의 논제 : 어떤 현상이나 대상의 참/거짓 을 논하는 것 대표적으로 양자역학에 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토론이 있다 현 시점에서 사실 관계를 따지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과학'이기에, 과학적 방법론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사실'이 무엇인지 분석적으로 따지는 논의도 포함될 것이다. 과학에 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