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책 정보 포탈
- 정책정보
- 책
- 토론 문화
- 수권 정당
- 논제 자료
- 토론 정의
- 토론 기획
- 이념 정당
- 발제
- 위계
- 정책 정보
- 정책 자료
- 정부24 개요
- 정부24
- 정부24의 주요메뉴
- 논제
- 타당한 논증
- 토론
- 논증
- 조던 피터슨
- 정책
- 토론 태도
- 포스트모더니즘
- 포스트 모더니즘
- 토론 대첩
- 독서
- 정의
- 독서 토론
- 발제 자료
- Today
- Total
목록독서 토론 (3)
토론 기획하는 남자, 토기남

20. 리더 조던 피터슨 교수는 리더란 목적지를 알고 있는 사람이라고 주장한다. 목적지를 알지 못하면, 이끌 수 없기 때문이다. 긍정적인 리더는 목적지를 이야기와 함께 사람들과 소통한다. 목적지는 윤리와 이어진다. 삶의 상당 부분 헌신해도 좋다고 생각하는 일을 스스로 알고 있어야 하고, 다른 사람들의 목적 의식에도 호소할 수 있는 방식으로 소통한다. 다른 사람과 어떤 일을 함께 해 나가고 싶으면, 무엇을 말해야 할까? 일단 '이 일은 다른 일과 비교했을 때, 더 가치 있어' 동시에, '이 일을 해서 내가 얻는 것은 이것이고, 네가 얻게 되는 것은 이것이다' '우리가 함께 이 일을 하면, 이런 이유로 이 일이 더 잘 될 것이고, 너와 나 모두 얻게 되는 것이 많아질 것이다.'라는 것을 전달해야 한다. 발달..

14. 급변하는 한국 근현대 한국은 급격한 근대화를 겪은 나라다 민주화와 산업화라는 거대한 변화를 100년도 체 안되는 시간에 이루어냈다. 소수의 천재들이 외국의 성공 모델을 모방했고, 경제적, 정치적으로 그러한 전략은 성공했다. 한국이 조건하에서 상당히 발전한 나라라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전세계적으로 매우 희귀한 사례이며, 절대 우연이 아니다. 문제는 이 과정을 스스로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에 있다. 무엇이 훌륭했으며, 한계가 무엇인지 피할 수 있었던 문제인지 역사적 사안에 대해 일치된 의견이 많지 않다. 덕분에 의무 교육과정에서 근현대사를 가르치는 것은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현대 한국의 키워드 중 하나는 '공정성'이다. 그 어느 때보다, 사람들은 더 옳은 형태가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다..

14. 독서 토론 "독서 토론" 국어 사전 기준으로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원칙이다. 사전적 의미는 '독서한 내용에 대해서 여러사람이 각각 의견을 말하며 논의함'이라고 나와있다.(네이버 사전) 그러나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고 하지 않던가? 토론이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이전 글 에서 토론을 찬/반 형식의 질문을 다루는 것만으로 제한했다는 것을 언급하고 싶다. 그러나 본 글에서는 독서토론을 BD(book discussion)와 PBD(procon book debate) 두가지 의미로 혼용하고 있다. 독서 토론 또한 마찬가지다 찬반 구분하지 않고 이야기하는 것은 'book discussion' 혹은 'reading and discussion'이라는 표현이 보이는 한편 찬반 대립형 독서토론은 'procon b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