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타당한 논증
- 토론 정의
- 정책 정보 포탈
- 정책정보
- 이념 정당
- 논제 자료
- 포스트모더니즘
- 토론 기획
- 정부24의 주요메뉴
- 조던 피터슨
- 토론 문화
- 토론
- 발제
- 정의
- 정부24
- 논증
- 정책 정보
- 발제 자료
- 독서
- 정부24 개요
- 토론 태도
- 포스트 모더니즘
- 독서 토론
- 수권 정당
- 위계
- 정책
- 책
- 토론 대첩
- 논제
- 정책 자료
- Today
- Total
목록토론 문화 (2)
토론 기획하는 남자, 토기남

7. 로고스 문화 독서토론 문화에 대한 고찰을 적기에 앞서, '로고스'라는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있음을 밝히고 싶다. 로고스 문화 : 진실을 말하는 것이 긍정적인 결과를 일으킬 것이라는 믿음 조던 피터슨이 요약한, 로고스 문화의 근본적 속성이다 로고스 문화는 역사적으로 서구 사회와 깊은 연관이 있다. 이를 함축적으로 가장 잘 드러내는 예시로는 창세기 1:3 의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가 있다. 기독교의 원형적 상징에 친숙한 사람들은 로고스 문화의 가장 큰 특징인 '신성한 말하기'의 상징이라고 주장한다. 상당수의 설득력 있는 문화적 증거들이 현존하는데, 서양의 발명품 중 하나인 법치주의(영미법 기반)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법정에 들어서서 가장 먼저 하는 것이 , ..

0. 프롤로그 독서 토론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어려운 점 중 하나는 근거가 될 기준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몇몇 기존 토론 단체나 협회의 자료들이 있기는 하지만, 기획하는 단계에서 실무적으로 쓰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다년간 독서토론 모임의 운영진에 있으면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자료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지극히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 정리하였음을 밝힌다. 1. '토론'과 '디베이트'의 혼용 한국에서 대중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토론의 정의는 엄밀하지 않은 편이다. 가장 큰 이유는 '토론'과 '디베이트'라는 단어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토론 : 어떤 문제에 대하여 여러 사람이 각각 의견을 말하며 논의함.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디베이트 : 어떤 문제에 대하여 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