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정부24의 주요메뉴
- 토론 태도
- 논제
- 논증
- 정책
- 발제 자료
- 토론
- 토론 기획
- 포스트모더니즘
- 정책 정보
- 정부24 개요
- 발제
- 토론 정의
- 포스트 모더니즘
- 정책 자료
- 위계
- 토론 대첩
- 논제 자료
- 조던 피터슨
- 독서 토론
- 수권 정당
- 정의
- 타당한 논증
- 정책정보
- 정책 정보 포탈
- 정부24
- 책
- 토론 문화
- 이념 정당
- 독서
- Today
- Total
목록발제 (2)
토론 기획하는 남자, 토기남

1. 논제 발굴을 위한 자료조사 창구 정부24를 이용하면 공신력있는 정보를 편하게 얻을 수 있다. 시대의 요구를 읽는 논제를 발굴하고 싶다면, 꼭 친해져야 하는 정부 서비스다. 2. 정책 정보 포털 정책 정부 포탈을 통해 정책토론을 위한 다양한 자료들을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정부 기관의 정보를 하나의 포탈에 연결되어 있다. 총 9가지 정보 포털의 이름과 출처는 다음과 같다. 국가정책연구 - 국무총리실 정책브리핑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연구관리 -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 행정안전부 기록 - 행정안전부 법령 - 법제처 통계 - 통계청 기상 - 기상청 재난안전 - 행정안전부 https://www.gov.kr/portal/policyInfo 정책·정보 포털 | 정책·정보 | 정부24 www.gov.kr

0. 프롤로그 독서 토론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어려운 점 중 하나는 근거가 될 기준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몇몇 기존 토론 단체나 협회의 자료들이 있기는 하지만, 기획하는 단계에서 실무적으로 쓰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다년간 독서토론 모임의 운영진에 있으면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자료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지극히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 정리하였음을 밝힌다. 1. '토론'과 '디베이트'의 혼용 한국에서 대중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토론의 정의는 엄밀하지 않은 편이다. 가장 큰 이유는 '토론'과 '디베이트'라는 단어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토론 : 어떤 문제에 대하여 여러 사람이 각각 의견을 말하며 논의함.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디베이트 : 어떤 문제에 대하여 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