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정책
- 타당한 논증
- 발제
- 토론 문화
- 위계
- 정부24 개요
- 정부24
- 토론
- 수권 정당
- 논제
- 조던 피터슨
- 논제 자료
- 독서 토론
- 이념 정당
- 토론 정의
- 정책정보
- 정부24의 주요메뉴
- 논증
- 포스트모더니즘
- 토론 태도
- 독서
- 정책 자료
- 토론 기획
- 포스트 모더니즘
- 정책 정보
- 정의
- 토론 대첩
- 정책 정보 포탈
- 책
- 발제 자료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측도 (1)
토론 기획하는 남자, 토기남

이번 글은 측도라는 단어가 전혀 다른 학문에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짚기 위해 썼다. 1,2,3 문단은 수학에서의 측도(measure)를 다룰 것이고 4 문단은 사회과학에서의 측도(measurement level)을 다룬다. 1. 수학에서의 측도(measure) 어떤 집합의 크기를 재는 함수를 측도라고 말한다. 측도가 부여된 집합을 측도 공간(measure space)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측도와 측도 공간을 연구하는 수학 분야를 측도론(measure theory)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물 한 컵이 있다고 하자. 물이 '얼마나' 들어있는가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물이 담겨있는 높이를 재서 알려주거나(m), 부피를 계산(cc), 혹은 물 분자를 일일이 세서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mol). 이처럼..
토론 기획을 위한 정리글
2020. 4. 25. 2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