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토론 태도
- 수권 정당
- 정책 자료
- 책
- 논제
- 정부24 개요
- 포스트 모더니즘
- 포스트모더니즘
- 이념 정당
- 토론
- 정부24
- 정책정보
- 토론 문화
- 논제 자료
- 조던 피터슨
- 발제
- 타당한 논증
- 발제 자료
- 정책 정보
- 토론 기획
- 정책
- 정책 정보 포탈
- 독서 토론
- 독서
- 토론 정의
- 토론 대첩
- 위계
- 정의
- 정부24의 주요메뉴
- 논증
Archives
- Today
- Total
토론 기획하는 남자, 토기남
명제 본문
24. 논제는 명제여야 한다.
참과 거짓을 분명하게 나눌 수 있는 문장을 명제라고 한다.
토론을 하기에 앞서 논제가 명제인지 확인해야 한다.
즉, 결과를 결정짓는 기준이 명확한지, 애매한지부터 따져야 한다.
예를 들어, "베토벤은 음악의 천재이다." 가 참인 것처럼 여겨진다 하더라도
이에 대해 토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천재에 대한 정의가 애매하기 때문이다.
의무적인 규범에 해당되는 문장이어도 마찬가지다.
"아이는 아껴주어야 한다."처럼 의무적이고 윤리적인 말이라 하더라도
이를 논리적으로 증명하는 것이 불가능하기에 참/거짓을 따질 수 없다.
명제 : 참과 거짓을 분명하게 나눌 수 있는 문장
논제는 명제여야 한다.
25. 명제와 관련된 용어
명제의 특징과 집단에 대한 용어들이 많다.
사전마다 표현이 조금씩 달라서, 이를 정리해봤다.
가설 : 참/거짓이 확인되지 않은 명제
이론 : 연관성을 갖는 명제들의 모임
공리 : 이론 안에서 증명없이 참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명제
공리계 : 논리적으로 충돌하지 않는 공리들의 모임
증명 : 공리들을 가정하고, 그 가정 하에서 어떤 명제가 참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
정리 : 공리로부터 참이라고 증명된 명제
법칙 : 관찰된 현상에 대한 규칙성을 일반화 한 명제 (사실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원리 : 행동과 평가를 인도하는 개념이나 가치 (사실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