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부24
- 정책 자료
- 토론 대첩
- 포스트모더니즘
- 논제
- 위계
- 토론
- 발제 자료
- 정책정보
- 토론 문화
- 토론 기획
- 독서 토론
- 토론 태도
- 정책 정보 포탈
- 타당한 논증
- 토론 정의
- 수권 정당
- 논제 자료
- 정부24 개요
- 정책 정보
- 정책
- 이념 정당
- 독서
- 논증
- 정의
- 발제
- 정부24의 주요메뉴
- 조던 피터슨
- 책
- 포스트 모더니즘
- Today
- Total
토론 기획하는 남자, 토기남
포스트모더니즘 (2) 본문
10. 상대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을 단순히 무분별한 비판이라고 무시할 수 없는 것이,
논박하기 힘든 질문거리를 던졌다는 것에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가장 핵심적인 주장 중 하나를 소개하고자 한다.
유한한 수의 현상들에는 무한한 해석이 존재한다.
이 주장은 실제로 참이다.
실제로 인공지능 개발에서 겪고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컴퓨터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설정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무한하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점은 이 사실이 그야말로 모든 해석을 비판하는데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어떤 현상에는 수없이 많은 해석을 제시할 수 있기에,
그 중 특출난 해석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으로 비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 가치있는 해석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믿음
즉, 상대주의이다.
상대주의 : 더 가치있는 해석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믿음
11. 해석의 제약
이 결론이 틀린 이유는, 무한한 해석의 존재가 '실제로 작동 가능한' 해석이 무한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럼 작동 가능하기 위한 필요조건이 무엇인가
나는 진화적 맥락 속에서 이를 이해하고자 한다.
살아있는 생명체로써 적자생존이 의미하는 바는 이렇다
세상을 잘못 해석해서 살아남지 못하는 개체들을 모조리 죽여버리는 것이다.
진화는 '돌연변이'라는 새로운 해석을 끊임없이 내놓는다.
(종족번식 전까지의) '죽음'이라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개체는 다음 해석을 내놓을 수 없다.
부정하고 싶지만 사실이다.
따라서 도출해야 할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해석의 제약 1 :죽음과 불필요한 고통으로부터 최대한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동시에, '타인과의 협력과 경쟁의 필요성' 또한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인류는 경쟁을 딱 한 번만 하고 끝내는 것뿐만 아니라(예를 들어 전쟁)
같은 사람들과 반복해서 협력과 경쟁을 해야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해석의 제약 2 : 타인과의 협력과 경쟁을 동시에 충족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목표가 있다.
누구나 좀 더 선호하는 해석과 삶의 제약이 있다.
온갖것이 이유가 될 수 있다.
어린 시절의 경험, 경제적 상황, 유전적 기질 등등
해석의 제약 3 : 개인적 목표
살아있는 존재의 해석에는 내재적 제약이 있다.
이 모든것이 동시에 이루어지기에
여러분의 목표가 자살이 아닌 이상
세계에 대한 해석은 현실의 영역에서 엄청난 제약이 있다
장담컨데 이를 반박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참고한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lrm00oOATbQ
'토론 기획을 위한 정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 토론의 정의 (0) | 2020.04.20 |
---|---|
토론의 목적 (0) | 2020.04.20 |
포스트모더니즘 (1) (0) | 2020.04.20 |
로고스 문화 (0) | 2020.04.20 |
팩트 체킹 (0) | 2020.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