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책
- 포스트모더니즘
- 발제 자료
- 토론 기획
- 이념 정당
- 수권 정당
- 발제
- 위계
- 토론 정의
- 포스트 모더니즘
- 정책 정보 포탈
- 토론 태도
- 토론 대첩
- 논제 자료
- 정부24 개요
- 토론
- 정부24
- 정책정보
- 논증
- 독서 토론
- 정책 자료
- 타당한 논증
- 정책 정보
- 책
- 정부24의 주요메뉴
- 정의
- 논제
- 조던 피터슨
- 토론 문화
- 독서
- Today
- Total
토론 기획하는 남자, 토기남
수권정당과 이념정당 본문
정당에는 두 가지 선택이 있어요 수권정당이 되던지, 이념정당이 되던지
-이준석 전 의원-
'수권 정당'과 '이념 정당'이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네이버 사전 기준)
정치계에서 쓰이고 있는 단어인 듯 하다.
1. 수권정당
사전적으로 풀이하면, 정권(政權)을 이어받는 것이 주된 목표인 정당을 의미한다.
즉, 주로 정권 창출을 위해 노력한다는 의미다.
궁극적으로 대통령을 창출하고, 많은 의석수를 차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영상에서도 지적하듯, 이념이 없는 정당은 존재하지 않는다.
문제는, 우선순위에 있다.
정당이 추구하는 이념적 소신을 일부 포기하는 것을 감수하면서,
합당, 연대의 전략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양당제에 가까운 한국 정치 지형에서,
분당하는 경우에도, 종국에는 수권정당의 형태를 띄는 경우가 많았다.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중도층을 끌어오는데, 실제로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다.
2. 이념정당
이념을 사회에 투영하고자 하는 정당을 의미한다.
정의당이나 녹색당이 대표적인데,
특정 집단을 대변하는 경향이 강하다.
정의당은 취약계층 + 노동자, 녹색당은 여성에 집중되어 있다.
태생적으로 중도층을 끌어오기 힘들기 때문에,
소수 정당인 경향이 있고,
대체로 비례대표제로 의석수를 얻는 경향이 있다.
근래에 들어 이념 정당이 소정의 성과를 이루어 내고 있다.
노동자와 취약 계층에 대한 복지를 강조하는 정의당이 대표적인데,
더불어 민주당의 압승인 2020년 총선에서도 6석을 지켜냈다.
심상정 대표가 유일하게 당선되었고,
비례대표로 얻은 의석수가 5석이다.
수권정당 : 정권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정당
이념정당 : 이념을 사회에 투영하고자 하는 정당
출처 : 토론대첩 부제 도장깨기 180313 EP.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