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토론 대첩
- 정부24
- 토론 문화
- 독서
- 정부24의 주요메뉴
- 발제
- 위계
- 토론 기획
- 조던 피터슨
- 논제 자료
- 정책 정보 포탈
- 포스트모더니즘
- 발제 자료
- 정책
- 논제
- 정책정보
- 정책 정보
- 토론
- 책
- 논증
- 정책 자료
- 독서 토론
- 이념 정당
- 정부24 개요
- 정의
- 포스트 모더니즘
- 수권 정당
- 토론 정의
- 토론 태도
- 타당한 논증
- Today
- Total
토론 기획하는 남자, 토기남
논제별 토론 분류 본문
2. 논제별 분류
토론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실무적으로 가장 중요한 기준은 논제의 성격이다.
이는 구성원들의 성격에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관에 입각해 다음의 분류를 제안하고자 한다.
(1) 사실의 논제 : 어떤 현상이나 대상의 참/거짓 을 논하는 것
(2) 가치의 논제 : 사실을 기반으로 선/악을 논하는 것
(3) 정책의 논제 : 사실과 가치판단을 기반으로 정책의 긍정/부정을 논하는 것
(1) 사실의 논제 : 어떤 현상이나 대상의 참/거짓 을 논하는 것
대표적으로 양자역학에 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토론이 있다
현 시점에서 사실 관계를 따지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과학'이기에,
과학적 방법론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사실'이 무엇인지 분석적으로 따지는 논의도 포함될 것이다.
과학에 관심이 많은 분석적인 성향의 사람들에게 인기있을 주제라고 생각한다.
(2) 가치의 논제 : 사실을 기반으로 선/악을 논하는 것
'삶과 문학'을 통해 진행하는 논제들이 이에 해당될 것이다.
개인의 삶과 연관짓기 쉬워서 가볍게 이야기를 나눌 수도 있겠지만
종교, 도덕 철학 등을 고려해보면 얼마든지 깊게 들어갈 여지가 많다고 생각한다.
한편 '인간성을 조작하는 행위가 긍정적인가?'도 가치판단이라는 점에서 이에 해당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미래 사회에 벌어질 가치 판단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사실관계를 따질 정도의 과학 지식이 필요할 수도 있다.
스펙트럼이 넓기에
가장 대중적이고 인기가 많은 논제라고 생각한다.
(3) 정책의 논제 : 사실과 가치판단을 기반으로 정책의 긍정/부정을 논하는 것
실제 정책에 대해 이야기하는 논제다.
정치구조와 제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부터
전문적인 지식을 요하는 사항에 대해서 사실관계를 인식할 수 있는 리서치 능력이 필요하다
시의성을 띄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간적 제약도 존재한다
사회 참여가 활발한 사람들에게 관심이 가는 주제일 것이다.
최근에 기획했었던 '이시국토론'을 통해 진행하고자 했었다.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엎어졌지만)
'토론 기획을 위한 정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트모더니즘 (1) (2) | 2020.04.20 |
---|---|
로고스 문화 (0) | 2020.04.20 |
팩트 체킹 (0) | 2020.04.20 |
좋은 논증 (0) | 2020.04.20 |
토론의 정의 (0) | 2020.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