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토론 태도
- 정책정보
- 토론
- 토론 기획
- 정책 자료
- 책
- 타당한 논증
- 이념 정당
- 발제
- 수권 정당
- 발제 자료
- 독서 토론
- 정부24 개요
- 논증
- 위계
- 토론 대첩
- 독서
- 조던 피터슨
- 정책 정보 포탈
- 토론 정의
- 정책
- 정부24의 주요메뉴
- 논제
- 논제 자료
- 정의
- 포스트모더니즘
- 토론 문화
- 정부24
- 정책 정보
- 포스트 모더니즘
- Today
- Total
토론 기획하는 남자, 토기남
좋은 논증 본문
3. 논증
토론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방법은
'좋은 논증'이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논증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논증 : 일정한 근거를 들어 주장을 펼치는 것.
어떤 주장을 펼치면서 근거를 제시하지 않는 것은 단순한 믿음 혹은 신념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러한 정신은 철학에서 탄생한 과학을 비롯한 다른 학문들에도 이어진다.
논증은 유한한 전제(premise)와 결론(conclusion)으로 구성된다.
근거로 제시하는 것이 전제이며, 주장하고자 하는 것이 결론이다.
따라서 논증은 흔히 전제와 결론에 해당하는 문장들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4. 타당성과 합당성
그렇다면 좋은 논증은 어떻게 규정될까
논리학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성공적인 논증은 적어도 타당하다.
논증이 '타당하다'는 것은 그 전제들이 모두 참일 때 결론도 참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논증이 타당하지 않을 때, 즉 전제들이 전부 참이면서도 결론이 거짓일 수 있을 때 그 논증을 "부당하다"고 한다.
타당한 논증의 전제들이 모두 참이었을 때, '합당하다'고 한다
즉 어떤 논증이 합당하다는 것은 논증이 타당하다는 것의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니다.
합당성을 다른말로 건전성이라고도 한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타당하다 : 전제들이 모두 참일 때 결론도 참일 수밖에 없다는 것
합당하다 : (i) 논증이 타당하고 (ii) 논증의 전제들이 모두 참이어야 한다는 것
사실 논증의 과정이 워낙 급박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타당성과 합당성을 평가하며 토론하기란 쉽지 않다.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토론 과정 중의 발언을 녹화하여
시간을 두고 판별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대중의 평가를 받을 수도 있다는 무거운 짐을 지게 된다.
타당하지 못한 논증을 한 영상이 두고두고 회자되는 경우를 왕왕 볼 수 있다.
양날의 검이라고 할 수 있다.
'토론 기획을 위한 정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트모더니즘 (1) (0) | 2020.04.20 |
---|---|
로고스 문화 (0) | 2020.04.20 |
팩트 체킹 (0) | 2020.04.20 |
논제별 토론 분류 (0) | 2020.04.20 |
토론의 정의 (0) | 2020.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