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위계
- 독서 토론
- 토론 문화
- 정부24의 주요메뉴
- 이념 정당
- 발제
- 정부24
- 독서
- 조던 피터슨
- 발제 자료
- 정부24 개요
- 정책정보
- 정책 자료
- 포스트모더니즘
- 타당한 논증
- 정책 정보 포탈
- 정책
- 포스트 모더니즘
- 토론 정의
- 논제 자료
- 토론 기획
- 정책 정보
- 책
- 수권 정당
- 논증
- 정의
- 논제
- 토론 태도
- 토론 대첩
- 토론
- Today
- Total
목록토론 기획을 위한 정리글 (24)
토론 기획하는 남자, 토기남

8. 포스트모더니즘 토론 기획의 장애물 중 하나는 '토론이 의미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다.토론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방해가 되는 존재들이다.이런 종류의 사람들의 골치아픈 점은 스스로를 교묘하게 감춘다는 것에 있다. 심지어 본인이 인지하지도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부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포스트모더니즘' 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싶다.대부분의 정보는 'Explaining Postmodernism' 에서 가져왔다.저자인 스티브 힉스는 록포드 대학교의 철학교수이다. 현재 우리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에 살고 있다.이 사상의 최전선에는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 장 프라수아 리오타르, 리타드 로티가 있다. 이들의 공통된 입장은, '이성', '진리', '지식'이 모두 무의미하다는 것이다.서구 문명의 지배 ..

7. 로고스 문화 독서토론 문화에 대한 고찰을 적기에 앞서, '로고스'라는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있음을 밝히고 싶다. 로고스 문화 : 진실을 말하는 것이 긍정적인 결과를 일으킬 것이라는 믿음 조던 피터슨이 요약한, 로고스 문화의 근본적 속성이다 로고스 문화는 역사적으로 서구 사회와 깊은 연관이 있다. 이를 함축적으로 가장 잘 드러내는 예시로는 창세기 1:3 의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 가 있다. 기독교의 원형적 상징에 친숙한 사람들은 로고스 문화의 가장 큰 특징인 '신성한 말하기'의 상징이라고 주장한다. 상당수의 설득력 있는 문화적 증거들이 현존하는데, 서양의 발명품 중 하나인 법치주의(영미법 기반)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법정에 들어서서 가장 먼저 하는 것이 , ..

5. 타당한 토론은 전제의 대결이다. 토론은 논증의 대결이다. 결론은 단 두가지로 나뉜다. '긍정' 혹은 '부정' 타당한 논증을 진행한 토론이었다는 전제하에 합당성에 대한 대결을 진행할 수 밖에 없다. 즉, 전제들이 참인지 확인하는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6. 팩트체킹 실무적으로 이를 수행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국제 팩트체킹네트워크(IFCN)가 제정한 팩트체킹 원칙 규정인데, 팩트체크를 전문으로 하는 기자들이 준수한다고 알려져있는 방법이다 ('fact-check' 는 대명사처럼 쓰이기 때문에 '사실확인'으로 쓰지 않고 '팩트체크' 로 적었다.) 팩트체킹 원칙 규정 (Fact-Checking code of principles) 1. 초당파성과 공정성에 대한 약속 우리는 팩트체크를 할 때마다 동일한..

3. 논증 토론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방법은 '좋은 논증'이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논증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논증 : 일정한 근거를 들어 주장을 펼치는 것. 어떤 주장을 펼치면서 근거를 제시하지 않는 것은 단순한 믿음 혹은 신념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러한 정신은 철학에서 탄생한 과학을 비롯한 다른 학문들에도 이어진다. 논증은 유한한 전제(premise)와 결론(conclusion)으로 구성된다. 근거로 제시하는 것이 전제이며, 주장하고자 하는 것이 결론이다. 따라서 논증은 흔히 전제와 결론에 해당하는 문장들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4. 타당성과 합당성 그렇다면 좋은 논증은 어떻게 규정될까 논리학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성공적인 논증은 적어도 타당하다. 논증이 '타당하다'는 것은..

2. 논제별 분류 토론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실무적으로 가장 중요한 기준은 논제의 성격이다. 이는 구성원들의 성격에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관에 입각해 다음의 분류를 제안하고자 한다. (1) 사실의 논제 : 어떤 현상이나 대상의 참/거짓 을 논하는 것 (2) 가치의 논제 : 사실을 기반으로 선/악을 논하는 것 (3) 정책의 논제 : 사실과 가치판단을 기반으로 정책의 긍정/부정을 논하는 것 (1) 사실의 논제 : 어떤 현상이나 대상의 참/거짓 을 논하는 것 대표적으로 양자역학에 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토론이 있다 현 시점에서 사실 관계를 따지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과학'이기에, 과학적 방법론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사실'이 무엇인지 분석적으로 따지는 논의도 포함될 것이다. 과학에 관심..

0. 프롤로그 독서 토론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어려운 점 중 하나는 근거가 될 기준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몇몇 기존 토론 단체나 협회의 자료들이 있기는 하지만, 기획하는 단계에서 실무적으로 쓰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다년간 독서토론 모임의 운영진에 있으면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자료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지극히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 정리하였음을 밝힌다. 1. '토론'과 '디베이트'의 혼용 한국에서 대중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토론의 정의는 엄밀하지 않은 편이다. 가장 큰 이유는 '토론'과 '디베이트'라는 단어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토론 : 어떤 문제에 대하여 여러 사람이 각각 의견을 말하며 논의함.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디베이트 : 어떤 문제에 대하여 찬..